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32

요새 꽂힌 미세먼지 대기질.. 이유는 간단하다 숨도 못쉬게 나쁜 공기 때문. 각종 오염물질. 특히 겨울철 난방으로 인한 대기오염이 심하고 중국발 미세먼지도 심하다. 모를땐 그저그랬는데 미세먼지 앱깔고 나니 무서워지는 우리나라 공기...ㅜㅜ 아기가 자주 기관지염에 폐렴에 콧물 기침을 달고사니 자연스레 관심이 많아지는건 어쩔수가 없다. 이게 뭔일이라니. 그래서 어떻게든 실내공기라도 바꿔보자고 공기청정기 틀고 하지만 전기먹고 필터교환하는거 보면 이것도 환경에 좋아보이진 않는 것이다. 결국 생각해낸것은 식물..... 그렇다.. 실내 식물로 공기를 바꿔보자 하는 그런 마음이 생겨 요새 화분이 계속 늘어나는 중이다. 당분간 공기정화식물이나 원예는 쭉 관심있게 볼 계획이다. 어쩔 수가 없어..ㅜ 2017. 1. 22.
친정집에서 분양받은 식물화분들 요새 꽂힌 공기정화식물들을 알아보다가 문득 친정엄마가 식물을 많이 기르시는걸 깨닫고 좀 얻어왔다. 베란다가 터질것같이 넘치는 식물들을 분갈이겸 나눠 받았다. 아빠는 다가져가라 하시지만 절반만 해도 차에 못실어 조금씩 나눠가져오기로 했다. ㅎㅎㅎ;;; 왼쪽이 받아온 군자란. 엄청나게 큰화분에서 나눠져 온 아이. 저만해도 중간화분사이즈라 잘 자라주길 기대해 본다. 오른쪽엔 내가 키우던 작은 산호수들. 스파티필름. 스파티필럼이냐 스파티필름이냐 잘 모르겠는데 일단 아무거나 부르기로 함. 공기정화식물에 대표적인 아이인데 분갈이하고 물을 안줬다. 화분 무거워질까봐 일단 가져오고 바로 물을 줬는데 잎이 축 늘어져서 안쓰럽다. 얼른 생기를 찾아줘야할텐데.. 아이비. 자생력이 강하고 햇볕이 잘 안들어와도 잘 산다고 엄마.. 2017. 1. 21.
실내공기정화식물 - 스파티필럼(스파티필름) 키우기, 재배방법 출처: 농촌진흥청 학명 Spathiphyllum wallisii 영명 spath, peace lilies 유통명 스파트, 스파티필럼 과명 천남성과 원산지 콜롬비아, 베네수엘라 TIP 불염포는 흰색이나 나이가 들면 녹색을 띤다. 공기정화 효과 ○ 포름알데히드 제거량 : 0.47(ug.m-2.cm-2leaf area) 최하 하 중하 중 중상 상 최상 ○ 음이온 발생량 : 426(개/mL) 최하 하 중하 중 중상 상 최상 ○ 공기정화 효과에 따른 생활공간 배치 추천 : 모든 장소 ○ 공기정화 : 잎이 넓고 음이온 발생량이 많다. 꽃이 있는 식물은 실내에서 기르기가 어렵다. 그러나 스파티필럼은 공기정화식물 중에 꽃이 달리는 가장 대표적인 실내식물이다. 식물의 이용 스파티필룸은 최고의 실내식물로 꼽을 만한 특성을.. 2017. 1. 19.
식물 기능에 따른 실내공기정화식물 배치 츨처 : 농촌진흥청 주방 - 요리 시에 발생한 일산화탄소의 제거기능이 우수한 식물 스킨답서스, 산호수, 아펠란드라 등 침실 - 오염물질 제거 및 밤에도 산소방출하는 식물 선인장, 호접란, 다육식물 등 거실 - 포름알데히드, 휘발성유해물질 제거하는 식물 아레카야자, 피닉스야자, 세이브리찌야자, 드라세나, 인도고무나무, 보스톤고사리, 산호수 등 공부방 - 음이온 방출이 많은 식물 팔손이나무, 필로덴드론, 로즈마리, 파키라 등 베란다 - 미세먼지 등 분진제거 팔손이나무, 분화국화, 시클라멘, 꽃베고니아, 허브류 등 화장신 - 암모니아 제거 관음죽, 스파티필름, 안수리움, 맥문동, 테이블야자 등 2017. 1. 18.
실내공기정화식물 - 관음죽 키우기 학명: Rhapis excelsa 영명: Fan Palms, (Large) Lady Palm, Bamboo Palm, Broad-leaved Lady Palm, Ground Rattan 유통명: 관음죽 과명: 야자과 원산지 한국, 일본, 중국남부 TIP: 컨테이너, 경계, 차폐, 방풍/ 암모니아 흡수에 최강인 관엽식물 손바닥 모양의 잎을 가진 집에서 기르기 쉽고 그늘과 추위에도 잘 견디고 병해충에도 강하기기 때문에 기르기 쉬운 식물이다. 자라는 속도가 느려서 관리가 편하다. 반엽이 들어있는 종은 색상이 더욱 아름답다. 2년에 한 번씩 분갈이를 해 주면 좋다. 관음죽을 지하관수나 수경재배로 기르는 경우에는 수돗물 속의 염분이나 미네랄이 잎 끝에 축적되어 갈색으로 변할 수도 있다. 이런 현상이 나타날 때에는.. 2017. 1. 15.
실내공기정화식물 - 산호수 키우기 산호수 산호수의 빨간 열매가 이 바다의 산호를 꼭 닮아서 붙여진 이름같다. 꽃말은 용감, 총명이다. 자금우과에 속하는 상록소관목이다. 지구상에 250종이 자생하는데 아시아, 호주, 아메리카 전역의 습기가 있는 산림에서 분포한다. 우리나라에는 자금우, 왕자금우, 산호수, 백량금 등 4종이 남부해안과 도서 및 제주지역의 낮은 산 그늘에서 자란다. 잎이 늘 녹색을 띠며 줄기가 옆으로 뻗는 특성이 있고 가을에 맺는 열매가 일품으로 분화용이나 실내조경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키가 작고 분지력이 좋은 데다 실내 그늘진 곳에서도 잘 자란다. 자생식물 중 광도가 낮은 곳에서도 잘 자라는 몇 안 되는 식물 중의 하나이다. 추위에 약해 바깥에서 월동이 어렵다. 반 그늘진 곳을 좋아하며 어느 정도 습기유지가 중요하.. 2017. 1. 15.